본문 바로가기

일상 속 생활정보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기간, 신청방법, 은행별 금리 정리

청년도약계좌 : 만기 5년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지원형 적금상품
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, 신청기간, 신청방법, 은행별 금리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청년도약계좌란?

만기 5년동안 매월 1천원~7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지원형 적금상품으로
정부는 매월 최대6%의 기여금을 지원하고, 이자소득에 비과세혜택을 제공합니다.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▣ 나이요건
  - 신규 가입일 기준 만19세~34세 이하인 청년
  - 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계산 시 제외하고 계산
▣ 소득요건
  -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
  -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(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)
  -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이상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자
     (2024년도 가입 시 2021년~2023년 심사)
  -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인 자 (아래의 표 참고)
  ※ 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년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.
▣ 가구소득 중위 180%

가구 인원수월 기준금액연간 기준금액
1인 가구4,011,201원48,131,412원
2인 가구6,628,696원79,544,354원
3인 가구8,486,383원101,836,591원
4인 가구10,313,843원123,866,121원
5인 가구12,052,323원144,672,876원
6인 가구13,713,064원164,555,690원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

▣ 매월 초 2주간 은행 어플을 통해 가입가능합니다.
   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매달 일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금리

은행기본금리 (60개월, 세전)조건별 소득 + 우대금리우대금리
IBK 기업은행4.5%0.5%1.0%
KB 국민은행4.5%0.5%1.0%
NH 농협은행4.5%0.5%1.0%
신한은행4.5%0.5%1.0%
우리은행4.5%0.5%1.0%
하나은행4.5%0.5%1.0%
DGB 대구은행4.0%0.5%1.5%
경남은행4.0%0.5%1.5%
부산은행4.0%0.5%1.5%
JB전북은행3.8%0.5%1.7%
KJB광주은행3.8%0.5%1.7%

 

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요건

▣ 퇴직, 질병, 첫집마련, 해외이주

▣ 2024년 추가 요건 - 가입 후 3년 경과(비과세 적용), 결혼 및 출산(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 유지)

2024년 청년도약계좌 정책 변경사항

▣  가입 후 3년 경과하면 중도해지 해도 이자에 대한 비과세 적용
▣  결혼 또는 출산시에는 중도해지 해도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 유지
▣ 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적립금을 청년도약계좌로 연계 가능
   -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액 1,300만원(월50만원, 2년 납입 기준)을 청년도약계좌로 이전하는 경우 청년도약계좌에
     18개월간 70만원 씩 납입한 것으로 인정